범죄연구의 理論적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1:26본문
Download : 범죄연구의 이론적 접근.hwp
그는 범죄의 동기, 범죄적 culture 등을 통하여 범죄를 說明(설명) 하려는 기존의 이론(理論)적 노력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누구든지 내버려두면 범죄를 저지를 것인데 이를 통제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Merton은 culture적 目標(목표)와 제도화된 수단 간의 괴리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왜 서로 다른 적응방식을 나타내게 되는가에 상대하여는 체계적인 說明(설명) 을 skip하고 있다아 또한 한 사회내의 culture적 目標(목표)나 가치체계에 상대하여 사람들 사이에 기본적인 합의가 있다는 가정을 하고 있는 것도 반드시 현실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드러낸 이론(理論)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설명
범죄연구의 理論적 접근
Download : 범죄연구의 이론적 접근.hwp( 40 )
,인문사회,레포트
범죄연구의 다양한 이론적 접근 및 최근의 범죄연구 이론에 대해 요약, 정리 , 범죄연구의 이론적 접근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1. 범죄이론(理論)의 유형
2. 초기의 범죄이론(理論)
1) 사회해체이론(理論)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2) 아노미이론(理論)(Anomie)
3) 差別(차별) 접촉이론(理論)Differential Association
3. 다양한 이론(理論)적 분화
1) 통제이론(理論) Control Theory
2) 사회학습이론(理論) Social Learning Theory
3) 낙인이론(理論) Labeling Perspective
4) 갈등이론(理論) Conflict Theory
4. 범죄이론(理論)의 새로운 지향
1. 범죄학의 주요 이론(理論) 정리(arrangement)
1) 긴장(strain) 이론(理論) : Merton의 아노미 이론(理論)
2) 통제(control) 이론(理論) :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理論)
3) 학습(learning) 이론(理論) : Sutherland의 差別(차별) 교제이론(理論)
4) 낙인(labelling) 이론(理論) : Lemert의 이차적 일탈
5) 비판 범죄론 : 범죄와 계급지배
3. 최근의 범죄학 이론(理論) 동향
1) Gottfredson과 Hirschi의 `자기통제력(self-control)`
2) Katz의 `범죄의 유혹(seductions of crime)`
3) Braithwaite의 `재통합적 수치(reintegrative shaming)`
4) 경력 범죄자의 발견과 발전범죄학
이상의 적응방식 가운데 Merton이 가장 관심을 둔 것은 혁신형이었다.
2) 통제(control) 이론(理論) :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理論)
범죄원인(原因)에 대한 통제이론(理論)의 견해는 특이한 논리적 구도를 가지고 있다아 일반적으로 범죄의 원인(原因)을 說明(설명) 하는 많은 이론(理論)들은 범죄자가 왜 범죄를 범하게 되는가 또는 어떤 사회적 상황이 범죄의 발생을 가져오는가를 탐구하는데 비하여 통제이론(理論)은 오히려 왜 어떤 사람은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게 되는가를 연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아 이들은 범죄동기는 인간본성의 일부로서 개인의 범죄동기는 일정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연구할 문제는 왜 사람들이 일탈을 하게 되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왜 사람들이 규범적 가치에 동조하게 되는가 하는 점이다. Hirschi는 이러한 통제를 달성하는 기제로서 개인이 일상적인 사회와 …(skip)






순서
범죄연구의 다양한 理論적 접근 및 최근의 범죄연구 理論에 대해 요약, 요점
다. 이 유형은 합법적인 기회가 중상류층에 비하여 차단된 하류계층의 높은 범죄율을 說明(설명) 하는 논리적 근거로 생각되면서 이후 많은 조사연구의 이론(理論)적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입장의 대표적인 이론(理論)으로는 Hirschi(1969)의 사회유대이론(理論)(social bonding theory)을 들 수 있다아
Hirschi는 `우리는 모두 동물이며 자연적으로 누구든지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고 단언하면서 반사회적 행위를 자행하는 근본적인 원인(原因)은 인간의 본성에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