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 > catchall2 | catchall.co.kr report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 > catchall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2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5:30

본문




Download :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hwp







북한 각 지역의 방언의 특징과 함께 북한 표준어에 상대하여 기술해 놓은 레포트 입니다. 황해도 지역에 쓰이는 방언은 이 방언만의 독특한 특징도 있지만, 인접 지역의 방언 특징을 부분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대체로 북부 지역은 평안도 방언의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고 멸악산맥의 남부 지역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때문에 황해도 방언은 학자마다 견해가 달라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평안도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북한 각 지역의 방언의 특징과 함께 북한 표준어에 대해서 기술해 놓은 레포트 입니다.[표준어]북한의표준발 ,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hwp( 93 )


2. 북한 각 지역의 방언 특징

북한 지역의 방언은 그 특징에 따라 크게 평안도 방언(서북방언)과 함경도 방언(동북방언)으로 나뉜다. 그러나 현재 노인층에서는 후설모음들의 동요가 심하고 젊은 층에서는 아예 후설모음 계열이 부분적으로 합류를 경험하면서 아래와 같이 6모음체계로 變化하였다. 이와 같은 모음체계의 동요는 비단 평안도 방언뿐만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중국(China)의 평안도 출신 조선족이나 함경도 방언에서도 볼 수 있다

…(省略)
순서
북한의%20표준%20발음과%20방언연구_hwp_01.gif 북한의%20표준%20발음과%20방언연구_hwp_02.gif 북한의%20표준%20발음과%20방언연구_hwp_03.gif 북한의%20표준%20발음과%20방언연구_hwp_04.gif 북한의%20표준%20발음과%20방언연구_hwp_05.gif 북한의%20표준%20발음과%20방언연구_hwp_06.gif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


레포트/법학행정









[표준어]북한의표준발
다.

2.1. 평안도 방언

대체로 평안남북도에서 말해지는 방언을 평안도 방언 혹은 서북 방언(서북방언)이라 하는데, 인접한 황해도의 북부와 서부 지역도 평안도 방언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지니고 있다 평안도 방언은 그 발음 특징이 다른 방언에 비해 독특하고, 문법이나 어휘 면에서도 중부방언과는 다른 면을 지니고 있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2.1.1. 음운
2.1.1.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8~6개의 단모음[단모음, (ㅣ, ㅔ, ㅐ, ㅡ, ㅓ, ㅜ, ㅗ, ㅏ) ~ (ㅣ, ㅔ, ㅐ, ㅜ, ㅗ, ㅏ )]과 10개의 이중모음(ㅖ, ㅒ, ㅑ, ㅠ, ㅛ, ㅟ, ㅞ, ㅙ, ㅝ, ㅘ)을 가지며, 2개의 반모음(w, j)을 가진다.
모음체계는 이 방언의 모음체계가 watch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엽까지 8모음체계를 유지해 왔다. 그리하여, 량강도, 자강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강원도와 같은 도가 신설되었다.
한편, 해방 이후 북한은 여러 次例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여기서는 남한에서 쓰는 행정구획 명칭(해방 전의 명칭)을 그대로 쓰기로 한다.
전체 12,49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