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14:42
본문
Download : 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hwp
[ㅂ]을 낼 때에 장차 (입술을)
닫으려다가 입술을 닫지 말고, 공기를 불어서 소리를 내면 [ㅸ]가 되니 입술 가벼운 소리라 한다.oldkorean[1] , 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인문사회레포트 ,
1. 소리 추定義(정의) 기본 방침
2. 쓰이지 않는 글자
3. 소리 바뀐 글자
1. 소리 추定義(정의) 기본 방침
ㄱ. 그 때 어학자들의 이 글자의 소리에 대한 설명(說明)
ㄴ. 다른 언어의 글자와의 소리옮김(音譯)관계. 곧 다른 나라말을 우리 글자로 기록한 것과, 그 반대로 우리말을 다른 나라 글자로 기록한 것.
ㄷ. 문제의 글자의 쓰임. 그 환경의 특이성에 유의할 것.
ㄹ. 그 글자로 적힌 소리가, 어떤 소리로부터 변해 왔으며, 또 어떠한 소리로 변해 갔는가? 이 경우에는 여러 방언의 소리가 많은 도움이 된다
2. 쓰이지 않는 글자
(1)「ㅸ」
ㄱ-1. 훈민정음 제자해의 설명(說明)
“「ㅇ」을 입술소리 밑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는 입술을 잠깐 가볍게 합쳐서 목소리가 많기 때문일것이다 ”
ㄱ-2. 최세진의 설명(說明)
“입술을 닫아서 소리를 내면 [ㅂ]가 되니 입술 무거운 소리라 한다.”
따라서, [ㅸ]는 두입술소리로서 입술의 닫음이 좀 불완전한 것이며, [ㅂ]이 공깃길 영도인데 대하여 [ㅸ]는 공깃길 1도 정도였음을 짐작할 수 있따
ㄴ. 중국(中國)말의 「ㅸ」
「ㅸ」글자는 중국(中國)말과 우리말 소리 적기에 두루 쓰였는데, 「ㅸ」으로 적혔던 소리는 지금 소리에서는 모두 [f]임을 알 수 있따 이런 한자들의 옛 소리는 대체로 [f]로 추정되며, 사성 통해 자모도에 의하면 「ㅸ」은 ‘전청’에 속해 있따
따라서, 중국(中國)말을 적은 「ㅸ」가 두입술소리요, 안울림이라면, [ɸ]일 것이니, 중국(中國)발음 [f]요, 이 소리를 우리나라 사람들은 [ɸ]로 발음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ㄷ.「ㅸ」의 쓰임
…(To be continued )
Download : 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hwp( 85 )
oldkorean[1]
다. 글자를 만듦에 동그라미를 [ㅂ]밑에 붙이는 것은 곧 입술을 비워서 (붙이지 않고서) 소 리를 낸다는 뜻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본 자료는 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인문사회,레포트
%20%EC%B6%94%EC%A0%95_hwp_01.gif)
%20%EC%B6%94%EC%A0%95_hwp_02.gif)
%20%EC%B6%94%EC%A0%95_hwp_03.gif)
%20%EC%B6%94%EC%A0%95_hwp_04.gif)
%20%EC%B6%94%EC%A0%95_hwp_05.gif)
%20%EC%B6%94%EC%A0%95_hwp_06.gif)
순서
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
본 자료는 옛소리(국어소실음운) 추정에 대해 정리(arrangement)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