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7 15:49
본문
Download :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hwp
구체적으로 고전 할리우드 영화에서 내러티브는 표준화된 패턴을 다르는 경향이 있는 데 질서와 균형의 깨짐에서 처음 되어 그 것의 문제 해결로 마무리를 짓는 다. 이야기하기(storytelling)이면서 이야기를 조직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戰略(미쟝센이나 조명을 포함하여)이다. 하지만 narrative는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점 때문에 번역을 해도 그 뜻을 정확히 이해하기 까다롭다. 위 설명(explanation)처럼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박하사탕 역시 소설적 내러티브가 강하다. 박하사탕에서 시간은 1979년 가을부터 1999년 봄 까지이며 공간…(투비컨티뉴드 )
순서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
1. 내러티브(narrative)의 의미와 설명(explanation)
내러티브의 사전적 의미는 이야기, 이야기체의 문학, 이야기 사건의 전말경험담 등을 흥미 있게 정리(arrangement)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말한다. ,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기타레포트 ,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이처럼 번역에 대한 다양한 意見이 존재하는 것은 좀 더 내러티브의 의미와 가깝게 번역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포괄적인 의미가 아닌 영화에서의 내러티브의 의미는 어떤 것일까? 가장 흔히 인용되는 설명(explanation)은 영화 서사 구조의 연구자인 데이비드 보드웰이 定義(정의) 내린 ‘시간과 공간적으로 인과관계를 맺으며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이다.


설명
내러티브와,플롯의,차이,기타,레포트
Download : 내러티브와 플롯의 차이.hwp( 35 )
레포트/기타
다. 번역가 곽철호는 narrative를 ‘전설이나 신화와 같은 사실이 아닌 이야기가 아니라 강화체 혹은 이야기체’라고 설명(explanation)하고 ‘설화’ 라고 번역한다. 영화 안의 내용에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을 통해 인과관계가 전개된다 영화에서 내러티브란 모든 것을 포함한 집합과도 같다. [이야기와 담론]의 번역자 이종록은 narrative를 `서사` 또는 `서사이야기`로 번역한다. 현대 영화에서는 쿠엔틴 타란티노의 펄프픽션 등 다른 패턴의 영화가 등장하기도 하지만 아직도 여전히 위의 기본적 패턴이 대다수 사용되고 있다아
2.예시-박하사탕
테살로니 영화제의 레프테리스 아다미디스 프로그래머는 이창독 감독은 리얼리즘에 대한 열정과 실제적 표현의 한계에 대한 도전, 배우들을 지치게 할 정도의 연기 요구, 소설적 내러티브에 대한 집중 등으로 유명하다고 설명(explanation)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