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와 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4:03본문
Download : 수화와 지화.hwp
② 지화를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오른손을 사용하여 천천히 한 음절씩 또박또박 해야 한다.
⑤ 1979년 금옥재단의 후原因 서울농아학교(현 서울 농학교) 교직원을 중심으로 한국 수화의 착수 3년 후인 1982년에 약 5700여 단어가 수록된 `표준수화사전“이 창간됨으로써 수화 보급에 획기적인 기틀을 마련했다.수화와 지화의 발생과 그 유형과 어떻게 하면 배울수 있는지도 설명하였습니다. 이때 인지가 미분화상태에서 인간은 상대에게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손짓을` 사용했다.
순서
Download : 수화와 지화.hwp( 38 )
다. 또한 영어와 같이 존대어가 따로 없어, 예를 들어 [당신…(To be continued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수화와 지화의 발생과 그 유형과 어떻게 하면 배울수 있는지도 설명하였습니다.
③ 수화를 처음 스타트하게 될 때는 상대편의 손동작을 보게 되지만 차츰 수화가 익숙해짐에 따라 상대편의 표정에 초점을 맞추어 대화하게 된다된다. 1909년 최초로 평양 맹아학교에 농아부를 부설함으로 한국 최초로 농아 교육을 스타트하였고 수화는 자연히 china(중국) 식 수화를 도입했다.
④ 1947년 국립맹아학교 초대교장 윤백원 선생에 의해 한글 지문자를 창안함으로써 한글 지문의 효시가 되었다.
④ 수화는 주로 동사를 많이 사용하고 형용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모든 표현이 단순한 점을 표정으로 보완시켜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기 때문에 수화에 있어서 상대편에게 자신의 의사전달이 음(音)이 아니고 감정이라는 점을 주의해서 풍부한 감정을 담은 표정과 몸동작으로 해야 한다.
②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인 Rossetta Sherwood Hall여사가 신혼 여행차 china(중국) 체후에 체류 중 선교사들이 경영하는 농아 학교를 시찰 후 농교육에 관심을 두면서 귀국 후 이익민씨를 파견한다.
수화할 때의 주의사항
① 수화 동작의 범위는 가슴높이에서 양어깨를 한계점으로 필요에 따라 큰 동작과 작은 동작으로 절도 있게 해야 한다.▶▶수화와지화 , 수화와 지화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수화와지화
수화와 지화





Ⅰ. 수화
1. 수화의 definition
2. 수화의 발생과 기원
3. 수화의 기호 구성 원리 7 가지
4. 수화의 유형 및 특징
5. 수화의 必要性
6. 수화할 때의 주의사항
Ⅱ. 지화
1. 한글 지문자(Korea finger spelling)
2. 지화 배우기 ① - 모음
② - 자음
③ - 숫자표현
수화의 발생과 기원
① 수어: 원시시대에 호모사피엔스 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야한다.
③ 그 후 1913년 현 서울농학교의 전신인 제생원이란 복지 및 교육시설을 둠으로서 제도화된 학교 교육을 실시하였고 일제하에서 日本(일본)식 수화를 도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