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00:15본문
Download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hwp
유도와 마무리의 기능을 갖는 비서사적 부분에 해당한다.
본사는 작품의 삽화 배열이 일정한 원칙에 따라 전개되는 정연한 서사적 짜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인공 태조의 영웅적 일생은 순차적 진행의 원리와 `역싸+일화`식 구조화 방법에 따라,
① 고귀한 혈통(제17~ 26장),
② 비범한 성장(제27~32장),
③ 탁월한 능력(제33~66장),
④ 투쟁에서의 승리(제67~89장), 태종의 영웅상(제90~109장)
으로 전개되는 4단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서사적 짜임은 영웅 이야기가 가지는 일반적 서사 단계를 거의 벗어남이 없는 전형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용비어천가〉가 서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음을 확신하게 해주는 실증적 근거라 하겠다.
제110장~125장에 이르는 결사에서는 후대 왕에의 규계를 통해 왕업의 영원함을 기리기 위한 4단 구조의 논리적 짜임을 보이고 있다
제110~114장은 4조와 태조가 겪은 왕조 創業(창업)의 고난을 통해,
제115~119장은 태조·태종이 보인 군왕으로서의 덕성을 통해,
제120~124장은 태조·태종이 힘쓴 경국제세(經國濟世)의 모범을 통해,
그리고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마지막 제125장은 왕업의 영속을 염원하는 소망을 통해 후대왕들을 규계하고 있다
서사와 결사의 짜임은 서사 내용의 전개에 따른 서사적 짜임이 아니라 주제 중심의 논리적 짜임을 특색으로 보여준다.
제1, 2장은 전체의 프롤로그에 해당하고,
제3~8장은 토대 마련의 필연성을,
제9~16장은 건국의 필연성을 표현했다. 이를 통해 작품의 창작 의도와 목적, 주제를 직접적으로 밝혔다.
〈용비어천가〉의 서사적 통일성 문제는 본사에서 나타난다.
▶ 작자 : 정인지, 권제, 안지
▶ 갈래 : 악장(樂章)
▶ 연대 : 세종 27년(1445)
▶ 문종 : 악장, 서사시…(To be continued )
훈민정음으로 쓰여진 최초의 작품인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資料입니다.
순서
%EC%9D%98%20%EB%AC%B8%ED%95%99%EC%82%AC%EC%A0%81%20%EC%9D%98%EC%9D%98_hwp_01.gif)
%EC%9D%98%20%EB%AC%B8%ED%95%99%EC%82%AC%EC%A0%81%20%EC%9D%98%EC%9D%98_hwp_02.gif)
Download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hwp( 12 )
〈용비어천가〉의 서사는 역성혁명(易姓革命) 또는 새 왕조 創業(창업)의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한 3단 구조의 논리적 짜임을 보인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
레포트/인문사회
훈민정음으로 쓰여진 최초의 작품인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문학사적 의의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