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 진화가 시작됐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21:42
본문
Download : 20060320.jpg
<용어 說明(설명) >
다.
설명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한국전기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국제전기전자학회(IEEE)는 모바일 와이맥스 표준(IEEE 802.16e)에 대한 차기 단계 진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6월 ‘IEEE 801.16m’(가칭)에 대한 논의를 스타트할 예정이다. 손재권기자@전자신문, gjack@
`와이브로` 진화가 시작됐다
Download : 20060320.jpg( 16 )
`와이브로` 진화가 시작됐다
ETRI 이동통신연구단 관계자는 “상용화 2∼3년 내 고용량 데이터가 늘어나 시스템 저장 능력이나 중계기 커버리지 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본다”며 “와이브로 진화 논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IEEE 802.20 : MBWA(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로도 불리며 3.5㎓ 대역을 이용, 도시지역통신망(MAN)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1Mbps까지 끌어올려 주는 것이 특징이다.
윤 부사장은 “와이브로는 결국 이동형 인터넷(Internet)에 최적화된 기술의 집합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술을 위해 OFDM 기반 무선 접속과 단말기 단순화, 계층 간 통합 기술도 대두됐다.
`와이브로` 진화가 시작됐다
최근 음성인식, 음성합성, 필기체 인식 기술이 발전, 표준화 작업도 진행중이다. 한국 등 세계 와이브로 진영은 표준화 완료 단계인 IEEE 802.16e 상용화를 토대로 비동기식 3세대 이동통신(WCDMA) 진화모델(WCDMA LTE)과의 비교 우위를 확보한다는 목표(目標)다. 관련 기술로는 △멀티모달 인터렉션 프레임 워크 △입력 표준 언어(EMMA) △잉크 마크업 언어(필기체 인식) 등이 꼽힌다.
레포트 > 기타
KT의 윤종록 부사장(R&D 부문장)은 “와이브로가 이동형 인터넷(Internet)인 점을 감안해 단말기가 음성을 자동으로 인식, 검색 등을 수행해야 한다”며 “KT는 이 같은 기술(멀티모달 인터페이스)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궁극적인 와이브로 연구개발 목표(目標)로 삼고 있다”고 說明(설명) 했다.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목표(目標)=기술 표준화 논의와는 별도로 와이브로 사업자인 KT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형 와이브로’를 진화의 목표(目標)로 삼고 있따
휴대인터넷(Internet)(모바일 와이맥스, 와이브로)에 대한 국제 표준화 기구 차원의 기술 진화(evolution) 논의가 이르면 6월 개시될 展望(전망) 이다.





◇WCDMA와 경쟁=상용서비스에 돌입하기도 전에 차세대 진화 논의를 스타트하는 것 자체가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있따 그러나 경쟁기술인 IEEE 802.20과 WCDMA LTE가 이미 진화를 스타트했다는 점에서 서두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란 게 대세다. 이에 따라 TTA와 ETRI는 ‘와이브로 진화’에 대한 국내 표준화를 우선 추진하고 실제 시스템 운용 결과를 바탕으로 IEEE에서 사실상의 국제 표준화를 주도한다는 전략(戰略) 이다.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고 5㎒로 한정된 대역폭을 20㎒까지 늘려 이동통신을 통해 2시간짜리 영화를 5분 이내 다운로드할 수 있는 혁명적 기술. LTE는 IP망과 음성망, 데이터망을 하나로 묶는다. 15㎞ 또는 그 이상의 셀범위에서 노트북PC, PDA, 모바일 기기에 이동성을 제공해줘 기존 셀룰러 기술과도 경쟁하게 될 것으로 예상돼 업계가 주목하고 있따
`와이브로` 진화가 시작됐다
TTA와 ETRI 내 전문가들은 와이브로의 진화 목표(目標)로 △시속 300㎞ △가변 대역폭(10/20/40㎒) 지원 △전송효율 증가 △낮은 보호구간(오버헤드) 비율 등을 꼽고 있따 주파수 효율성을 높이고 고속 전송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다중입출력(MIMO)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시스템 전송 속도와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량을 늘려 시장성을 보완해야 한다는 것.
순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와 와이브로 단말기 간 통신을 위해 음성·팬 등을 이용하는 것. 기존 인터넷(Internet)은 키보드만을 사용했으나 와이브로에서는 음성이나 펜글씨도 인식하게 한다는 槪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