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간도』작품 analysis(분석) 과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14:46본문
Download : 『북간도』작품 분석과 이해.hwp
함흥고보 2학년 때 맹휴를 주동하여 자퇴, 상경하여 경신학교(儆新學校)에 편입했으나, 광주학생운동의 여파로 일어난 학생운동에 앞장섰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또다시 퇴학당하여 日本 으로 건너갔다.
와세다(早稻田)대학 고등사범부 영어과 수학하고 소설가로 1935년 단편 『적십자 병원장』을 <조선문단>에 발표하여 등단함. 그후 [만선일보]를 주요 무대로 문단 활동을 함. 박영준과 함께 <북향(北鄕)> 동인. <간도일보>, <만선일보> 기자 역임. 초기에 그는 해방 전 만주에 거주하면서 만주 한국인 농민의 이민 생활과 농촌 삶의 애환을 그린 농민소설 작품을 주로 썼으나, 해방 후의 후기에는 도시 서민의 생활과 지식인의 심리적 세계를 파고든 작가였다.
『북간도』작품 analysis(분석) 과 이해
설명
『북간도』작품analysis(분석) 과이해
1. 지은이 introduce
2. core 요약
3. 등장인물의 역할
4. 작품의 구성
5. 작품의 줄거리
6. 재출간의 의의
7. 이해와 감상
관련 서적
지은이 안수길(安壽吉: 1911-1977)은 함흥에서 출생. 1922년 간도(間島)로 이주하여 간도중앙학교를 졸업하였다. 즉, 안수길은 평범한 사람들의 고뇌와 용기, 그들의 의식 세계를 사실적으로 그려 나가는 경향을 보임. 주요 작품으로는 『북간도』, 『새벽』, 『여수』, 『제3 인간형』, 『풍자』 등이 있다
대표작으로는 단편집 적십자 병원장, 제삼인간형, 여수, 밀회, 풍속 등이고 장편으로는 북간도, 성천강, 제2의 청춘이 있다
2. core 요약
갈래 : 장편소설, 대하소설. 歷史(역사)소설
배경 : 1870년 조선 말기부터 광복까지의 만주 북간도
시점 :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경향 : 사실주의
문체 : 함경도 방언 사용
의의 : 염상섭, 박경리 등과 함께 민족적 리얼리즘 작가로서 간도 이주민의 투쟁으로 점철된 삶과 애환을 객관적으로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제재 : 4대(代)에 걸친 이민 수난사
주제
① 땅에 대한 농민(간도 유민)들의 애착과 강렬한 민족의식, 자주 정신
② 한민족의 주체적 저항과 창조적 삶의 歷史(역사)
출전 : 1959~67년까지 [사상계] 연재된 5부작
3. 등장인물의 역할
이한복(1대) : 자주 정신이 강하며, 어려운 가운데서도 서당을 차려 손자를 가르친…(To be continued )





순서
『북간도』작품 analysis(분석) 과 이해에 대한 입니다,
레포트/감상서평
『북간도』작품 분석과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북간도』작품분석과이해 , 『북간도』작품 분석과 이해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북간도』작품 분석과 이해.hwp( 12 )
,감상서평,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