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china철학, 인도철학 > catchall5 | catchall.co.kr report

china철학, 인도철학 > catchall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5

china철학, 인도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4:54

본문




Download : 중국철학, 인도철학.hwp





설명


제_1_부_china철학




중국철학,%20인도철학_hwp_01.gif 중국철학,%20인도철학_hwp_02.gif 중국철학,%20인도철학_hwp_03.gif 중국철학,%20인도철학_hwp_04.gif 중국철학,%20인도철학_hwp_05.gif 중국철학,%20인도철학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중국철학과 인도철학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되어있습니다. 이것은 만용과 비겁의 중용이다. 물론 사람이 착하지 못한 일을 할 수도 있으나 그것은 후천적인 욕심에 마음이 흐려졌기 때문이지 결코 인간본성의 죄가 아닌 것이다.
둘째, 호연지기를 길러야 한다.

Download : 중국철학, 인도철학.hwp( 63 )


china철학, 인도철학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2. 맹자
가. 성선설
-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는 주장. 인간의 천성은 오직 선한 것만을 따른다. 그리하여 인간이 올바른 길을 가기 위해서는 이 내재적인 것을 이끌어내기만 하면 됨
- 인간에게 네 가지 착함의 시초가 있는데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仁)의 단(端)이요,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義)의 단(端)이요,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禮)의 단(端)이요,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知)의 단(端)이라.
-이 세상에는 왜 그렇게 악한 일이 많이 일어나는가?
사람의 마음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자라나고 새벽의 청명한 기운을 받아 착한 싹이 돋아나지만, 낮에 일어나는 혼잡한 일 때문에 다시 교란되어 없어지고 만다.
나. 수양론(修養論)
맹자는 우리가 착한 본성의 씨앗을 잘 보존하고 확충하는 방법으로 존심양성(存心養性)의 수양을 들고 있음 - 욕망 등에 의하여 본심을 그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며 선천적으로 내재하는 도덕성을 기르는 것
-외부의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마음 즉 부동심(不動心)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첫째, 참된 용기를 길러야 한다. 이것은 외형적으로만 의리에 맞는 행동을 취했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내면적인 의리를 쌓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 제_1_부_중국철학 , 중국철학, 인도철학인문사회레포트 ,


다. 정치론
맹자의 정치론은 성선설의 바탕 위에서 인간의 도덕적 가치를 현실에 구현하기 위한 실천measure(방안) 임. 왕도정치가 그 정치론의 核心.
·왕도정치 : 공리(功利)주의를 배격, 정치가 백성들의 마음(民心)에 합치해야 함. 민생문제의 해결을 선결조건으로 해야 함. 백성들에게는 생업을 보장해준 뒤에 도덕적인 생활로 이끌어야 하는 반면에 지도층에게는 생업에 좌우되지 않고 도덕적인 생활을 솔선수범하도록 해야 함
·정치의 최종목표(goal)는 인간의 도덕적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는 데 있음
·…(drop)
china철학과 인도철학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되어있습니다.
전체 12,64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