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복인가, 재앙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02:12
본문
Download : 축복인가, 재앙인가.hwp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축복인가, 재앙인가?
Download : 축복인가, 재앙인가.hwp( 82 )
,경영경제,레포트
1999년. 무언가 많이 의미가 있는 듯한 숫자들이지만 새로운 천년에의 희망으로 부풀기보다는 당장의 목숨을 이어가는 것이 너무도 절박해져 있...
1999년. 무언가 많이 의미가 있는 듯한 숫자들이지만 새로운 천년에의 희망으로 부풀기보다는 당장의 목숨을 이어가는 것이 너무도 절박해져 있... , 축복인가, 재앙인가?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1999년. 무언가 많이 의미가 있는 듯한 숫자들이지만 새로운 천년에의 희망으로 부풀기보다는 당장의 목숨을 이어가는 것이 너무도 절박해져 있는 지금이다. 남녀노소를 불문한 어떠한 사람도 ‘IMF`를 모르면 ’간첩‘이다.
단지 위기의 징후가 발발된 동아시아만의 문제도 아니며, 떠들썩했던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것만도 아니다. 부르주아들은 벌써 전부터 2000년 며칠전이라는 것을 강조해나가며, 또 다시 그들의 천년의 왕국을 준비하기에 여념이 없는데 말이다. 어느덧 1년을 훌쩍 지나버린 IMF 구제금융 신청이후, 경제를 살리고 국가를 살리기 위해 그토록 많은 사람에게 ’굶어 죽을 자유‘를 권하던 그들이 여전히 하는 말은, 아직 경제를 살리고 국가를 살리려면 한참을 더 있어야 하니 계속해서 ’굶어 죽을 자유‘를 포기하지 말라는 것이다. 지구상 곳곳에 ‘굶어 죽을 자유’를 강요받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끊임없이 그것을 강요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며, 빈곤이란 이름의 세계화가 진행되는 동시과정으로 부(富)의 집중은 극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 속에 국가간 경계는 희미해지는 것이 아닌 선택적으로 강화되고 있다아 즉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것은 자본과 그 자본을 소유하고 있는 소수에 불과하며, 어느때보다도 국경의 명확한 구분속에 이동이 제한되는 것은 바로 가난한 사람들이다. 지역의 차이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위기’라는 것이 너무도 계급적 차이를 부각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 많은 귀퉁이에서 국지적 전투와 인종폭력이 여전히도 지속되는 모습이 있다아 무엇을 위한 전쟁인지, 어떠한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폭력인지에 대한 납득을 전혀 할 수 없는 전쟁과 폭력속에 差別과 차이는 극단적인 배제현상을 낳아가고 있다아 사회적 불만이 극단적으로 표출되면 그것은 ‘인종청소’를 자처하여 나서기도…(생략(省略))
다.
빈곤이란 이름의 세계화, 그 세계화의 덫에 걸려버린 지구, 그리고 지금은 그 ‘덫’의 한가운데 빠져버린 한국사회. 이러한 표현에 더 이상 누구도 낯설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