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과 예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21:56
본문
Download : 우리말과 예절.HWP
아버지가 오신다 / 아버지가 오세요 / 아버지가 오십니다. (-주체, +객체, -청자)
영희가 할머니께 과자를 드렸습니다.(-주체, +객체, +청자)
어머니가 할머니께 과자를 드리셨다.(+주체, +객체, +청자)
2. 주체 경어법
(1) 주체경어법의 대상
특징 : [±…(drop)
설명
우리말과 예절
우리말과 예절우리말과예절-강의자료 , 우리말과 예절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말과 예절
순서
다.우리말과예절-강의reference(자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우리말과 예절.HWP( 29 )
레포트/인문사회
Ⅰ. 경어법
1. 국어 경어법의 체계
경어법 : 어떤 대상을 어느 정도로 예우하느냐를, 즉 얼마나 높여 대우하고 낮추어 대우하느냐를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체계
(1) 경어법의 세 종류
① 존경법(주체경어법) : 예우의 대상이 어떤 서술(동작이나 상태)의 주체, 즉 한 문 장의 주어인 경우.
저기 네 친구가 오는구나. / 저기 아버지가 오시는구나.
② 겸양법(객체경어법) : 주체가 하는 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예우하는 경우.
혜숙아, 이 편지 오빠한테 가져다 주어라.
혜숙아, 이 편지 할머니께 가져다 드려라.
③ 공손법(상대경어법) : 말을 듣는 사람, 즉 청자를 예우의 대상으로 하는 경어법
특징1. 존경법이나 겸양법이 존대의 대상, 즉 주체나 객체가 현장에 있을 수도 있
으나 없어도 쓰이는 경어법인 것과는 달리 이 경어법은 원칙적으로 청자가
현장에 있다고 하는 점이 특징.
특징2. 청자가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문장에 나타나지 않음.
특징3. 다른 두 경어법이 [±대우]로 이분되는데 비해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 대우.
비가 온다 / 비가 와요 / 비가 옵니다.(-주체, -객체, +청자)
어머니가 영희에게 과자를 주셨다.(+주체, -객체, +청자)
영희가 할머니께 과자를 드렸다.(+주체, -객체, -청자)
어머니가 영희에게 과자를 주셨습니다.(+주체, +객체, -청자)
어머니가 할머니께 과자를 드리셨습니다.(-주체, -객체, -청자)
영희가 동생에게 과자를 주었습니다.
(2) 세 경어법의 조합
영희가 동생에게 과자를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