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희 소설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1:45
본문
Download : 오정희 소설 연구.hwp
<바람의 넋>에서 ‘은수’의 남편은 은행원이고 ‘은수’ 역시 대학에서 서양학을 전공한 미대츨신으로 결혼 전에는 아동물을 출판하는 회사에서 도안사로 근무하기도 했다.설명
오정희 소설 연구
Download : 오정희 소설 연구.hwp( 72 )






순서
Ⅰ. 서론
1)연구 목적
2)연구사 검토
Ⅱ. 여성주인공의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분열
Ⅲ. 자아 회복을 위한 외부로의 외출
Ⅳ. conclusion(결론)
Ⅱ. 여성 주인공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분열
오정희 소설의 주인공들은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공존·대립 하에 놓여있따 이것은 사회와 가정에서 소외된 일상의 삶에서 파생된 것이다. 여성 주인공들은 교육 수준도 높은 편이나 그들의 교육은 사회로 환원되지 못하고 내조자로서의 아내, 아이의 양육 문제로만 규정 지어져 ‘현모양처’라는 이데올로기의 지배를 받고있따 이들의 ‘외적 자아’의 모습은 타인들에게 아무런 문제성도 내포하지 않은 평온, 행복이라는 이름으로 조명되고 심지어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여성 자신의 삶은 소외되어 고립감, 소외감, 자아의 정체감 상실로 중산층 여성의 여성문제를 간접적으로 표출하고 있따 한국 여성 연구회, 여성학 강의, 동녘, 1994
<꿈꾸는 새>에서 ‘나’ 의 남편은 소도시에서 식물분류학을 가르치는 대학의 교수이며 ‘나’ 역시 구체적으로 작품 속에서 “전부 제가 중고등학교 다닐 때부터 있던 것들이라구요”라고 말하고 있듯이 최소한 고졸이상 학력의 소유자이다. <어둠의 집>에서 ‘그 여자’의 남편은 회사의 간부사원이고 ‘그 여자’는 중년의 여성으로 대동아 전쟁말기의 관립여학교 시절을 회상하고 점으로 보아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으로 추정된다 여성주인공들은 자신이 추구하고 갈망하는 ‘내적 자아’를 차단 당하고 삶을 허무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심각한 존재의 위기를 느끼고 있따 아이를 기르며 남편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 내적 존재이지만 가정을 행복의 자리가 아닌 고통…(drop)
,감상서평,레포트
^^1 , 오정희 소설 연구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1
^^
다. 외적 자아는 사회와 가정에 의해 규정된 것으로써 오정희 소설의 외적 주인공들은 전형적인 중산층의 중년 가정주부의 삶을 대표하고 있따 대부분이 전업주부이며 이들의 남편은 대학교수나 교사, 은행원, 회사의 간부 사원 등으로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기반을 확보한 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