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05:02본문
Download : [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hwp
[의학,약학][의학],통증기전과,질환별,통증의,유형에,관해,의약보건,레포트
[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
목 차
1. 통증경로의 구조와 기능적인 연결
2. 통증 theory
3. 통각의 특수한 형태
4. 질환에 따른 통증의 유형
`참고한 문헌 `
1. 통증경로의 구조와 기능적인 연결
(1) 통각수용기
말초의 통각 수용기(pain receptors)는 잠재적이거나 실질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자극에 reaction(반응)하는 자유신경종말(freenerve endings)이다.
가는 무수초 구심섬유인 C 섬유는 기계적 자극, 열 자극(44˚C 이상), 화학적 자극 증 여러 가지 유해 수준의 자극에 reaction(반응)하는 다양상 유해수용기(polymodal nociceptors)로써 실질적인 조직 손상을 알리는 통증을 전달한다. 조직손상과 관련 있는 타는 듯한 통증(burning pain)은 이차통증(second pain) 또는 느린 통증(slow pain)이…(투비컨티뉴드 )
설명
[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
![[의학,약학][의학]%20통증기전과%20질환별%20통증의%20유형에%20관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D%86%B5%EC%A6%9D%EA%B8%B0%EC%A0%84%EA%B3%BC%20%EC%A7%88%ED%99%98%EB%B3%84%20%ED%86%B5%EC%A6%9D%EC%9D%98%20%EC%9C%A0%ED%98%95%EC%97%90%20%EA%B4%80%ED%95%B4_hwp_01.gif)
![[의학,약학][의학]%20통증기전과%20질환별%20통증의%20유형에%20관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D%86%B5%EC%A6%9D%EA%B8%B0%EC%A0%84%EA%B3%BC%20%EC%A7%88%ED%99%98%EB%B3%84%20%ED%86%B5%EC%A6%9D%EC%9D%98%20%EC%9C%A0%ED%98%95%EC%97%90%20%EA%B4%80%ED%95%B4_hwp_02.gif)
![[의학,약학][의학]%20통증기전과%20질환별%20통증의%20유형에%20관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D%86%B5%EC%A6%9D%EA%B8%B0%EC%A0%84%EA%B3%BC%20%EC%A7%88%ED%99%98%EB%B3%84%20%ED%86%B5%EC%A6%9D%EC%9D%98%20%EC%9C%A0%ED%98%95%EC%97%90%20%EA%B4%80%ED%95%B4_hwp_03.gif)
![[의학,약학][의학]%20통증기전과%20질환별%20통증의%20유형에%20관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D%86%B5%EC%A6%9D%EA%B8%B0%EC%A0%84%EA%B3%BC%20%EC%A7%88%ED%99%98%EB%B3%84%20%ED%86%B5%EC%A6%9D%EC%9D%98%20%EC%9C%A0%ED%98%95%EC%97%90%20%EA%B4%80%ED%95%B4_hwp_04.gif)
![[의학,약학][의학]%20통증기전과%20질환별%20통증의%20유형에%20관해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D%86%B5%EC%A6%9D%EA%B8%B0%EC%A0%84%EA%B3%BC%20%EC%A7%88%ED%99%98%EB%B3%84%20%ED%86%B5%EC%A6%9D%EC%9D%98%20%EC%9C%A0%ED%98%95%EC%97%90%20%EA%B4%80%ED%95%B4_hwp_05.gif)
![[의학,약학][의학]%20통증기전과%20질환별%20통증의%20유형에%20관해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D%86%B5%EC%A6%9D%EA%B8%B0%EC%A0%84%EA%B3%BC%20%EC%A7%88%ED%99%98%EB%B3%84%20%ED%86%B5%EC%A6%9D%EC%9D%98%20%EC%9C%A0%ED%98%95%EC%97%90%20%EA%B4%80%ED%95%B4_hwp_06.gif)
[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 , [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
순서
[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
Download : [의학,약학][의학] 통증기전과 질환별 통증의 유형에 관해.hwp( 99 )
레포트/의약보건
다. 신경충동은 Aδ섬유를 통해 초당 5-15m의 속도로 척수의 등쪽뿔로 전달된다된다. 다양상 유해수용기는 피부와 신경계를 제외한 여러 신체조직의 심층에 주로 위치하고, 균질의 수용야(homogenous receptive fields)를 가지고 있따 이것은 히스타민과 브래디키닌(bradykinin) 같은 화학물질에 reaction(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며, 조직손상에 대한 reaction(반응)으로 분비된다된다. Aδ섬유의 활성화와 관련된 대부분의 감각은 날카롭거나 찌르는 듯 하고, 통증 발생부위를 명확히 감지할 수 있는 통증으로 빠른 통증(fast pain)이라 부르기도 한다. 자유신경종말은 척수의 등쪽뿔(dorsal horn)로 가는 유해한 자극과 관련된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가는 구심섬유에 연결되어 있따 자유신경종말은 피부, 입안, 그리고 항문 등에 위치하며, 일차적으로 가는 Aδ섬유에 연결되며, 고강도의 기계적 자극, 차갑거나 뜨거운 자극에 민감하게 reaction(반응)한다. C섬유는 Aδ 섬유보다 느리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전도속도는 약 초당 1m이다. 또한 Aδ 섬유는 유해하지 않는 감각정보를 전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