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위기관리 체계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2:27본문
Download : 독일의 위기관리 체계 분석.hwp
특히, 재난관리에 포함되는 것은 자력구조(자위), 국민에 대한 경보, 국민보호시설, 대피계획과 규 칙, 재난재해 대응, 국민보건을 위한 조치, 文化(culture) 재 보호를 위한 조치가 포함되어진다. 355과는 재난방지를 위한 기획과로서 총괄조정을 담당하고 있다
② 조직구조
(2) 연방행정청(BVA)과 제5국(Abt. 5)
①정의(定義)
연방행정청은 연방의 중심적 서비스관청(die zentrale Dienstleistungsbehörde)이다.
③재난방지 업무
- 대형참사에 대한 새로운 사무발굴
-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대비책의 현대…(省略)
,의약보건,레포트
독일의위기관리체제
Download : 독일의 위기관리 체계 분석.hwp( 53 )
다.
2)goal(목표)
독일 재난관리의 기본goal(목표) 는 국가 및 국민보호이며 재난관리 연방계획은 government 기능의 연속성 보장, 국 민보호, 물자조달, 정규군 지원 등 위기상황에서 사회기능이 유지되도록 그 대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2. 독일재난관리 시스템
1) 연방차원의 국가재난관리체계
독일 연방공화국의 국가재난방지를 위한 조직체계는 연방내무성하의 연방행정청(BVA) 제5국, 연 방기술지원단(THW) 그리고 민간방위아카데미로 구성된다
(1) 연방내무성(BMI)
ⓛ정의(定義)
연방내무성은 전국적인 국가재난의 총괄적인 책임기관이다. 이것은 연방 행정청이 연방, 州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정책을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독일의위기관리체제 , 독일의 위기관리 체계 분석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독일의 위기관리 체계 分析
설명
순서






1. 독일 재난관리의 정의(定義) 및 goal(목표)
2. 독일재난관리 시스템
3. 재난방지 교육훈련
4. 재난방지시스템 강화를 위한 새로운 戰略
5. 재난발생시 대응example(사례)
1. 독일 재난관리의 정의(定義) 및 goal(목표)
1) 국가재난관리의 정의(定義)
독일에 있어서 재난관리란 주민의 주거시설, 방위목적의 민간시설, 기업체 시설, 국가기관 시설 그리 고 文化(culture) 재 관련 시설을 보호하고, 기타 화재, 화생방사고, 環境오염사고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군사 적 조치로서 정의(定義) 을 요약하고 있다 government 의 조치는 국민의 자력구제를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 다. 연방내무성은 총 8개의 국 (Abteilung)으로 조직되어 있다 그 중 제5국은 재난방지를 담당하는 총국으로서 7개의과 (Referat)로 조직되어 있다 이중 351과 및 352과는 재난방지에 대한 일반적인 지원과 이며, 353과는 구조 및 위기관리를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