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평가의 쟁점 및 방향 -학생대상 질문조사에 근거하는 대학의 수업평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23:24본문
Download : 수업평가의 쟁점 및 방향 -학생대상 질문조사에 근거하는 대학의 수업평가를 중심으로-.hwp
이것은 학문적 자질과 학문전수 자질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수업평가를 통해 교사의 수행 능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신임교사의 채용, 재직교사에 대한 재임용 및 승진이나 보상과 같은 인사행정상의 의사결정을 도와줄 수 있으며, 개별교사에게는 수업의 질적 improvement을 위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교사의 자기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따 그 중에서 수업의 improvement이 보다 본질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따
2. 후진에 의한 선진의 평가
수업평가에서 빠지지 않는 data(자료)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질문조사 결과인데 이는 학문세계에서 학생은 교수에 비해서 후진이다. 그러나 수업평가는 그 concept(개념)상 교수의 학문적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세계에 입문시키는 학문전수 자질을 평가하는 것이라는 concept(개념)화로써 출발할 수 있따 그렇다면 학문적 수준이 높지 않더라도 학문전수 자질이 높은 경우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음에 비하여 그 반대로 있을 수 있따 아인시타인은 학문전수 자질은 낮은 교수였다고 평가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교육측정수업평가 , 수업평가의 쟁점 및 방향 -학생대상 질문조사에 근거하는 대학의 수업평가를 중심으로-사범교육레포트 ,
Ⅱ. 수업평가의 쟁점과 그 improvement을 위한 유의 사항
수업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첫째, 우선 그 평가의 목적이 분명해야 할 것이고
둘째, 평가자는 필요로 되는 판단을 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며
셋째, 결과에 근거하여 수업의 질 improvement이 객관적으로 보장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넷째, 그 결과는 실제로 수업의 질 improvement에 유용하게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다섯째, 수업평가를 통한 수업의 질 improvement이 실지로 확인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1. 수업평가 목적의 복합성
수업평가는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교육의 책무성이라는 측면에서 논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수업평가에서는 후진이 선진의 질적수준을 평가하는 셈이다.
레포트/사범교육
교육측정(測定) 수업평가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Download : 수업평가의 쟁점 및 방향 -학생대상 질문조사에 근거하는 대학의 수업평가를 중심으로-.hwp( 83 )
다.설명
수업평가의 의미 및 필요성과 수업평가의 쟁점과 그 개선을 위한 유의 사항, 효과적인 수업의 개념정의를 위한 합의의 어려움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학생에 의한 수업평가는 교수의 학문적 자질보다는 학문 전수 자질에 대한 평가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그 결과의 타당성과 활용 가능성에 제한이 가해…(To be continued )
수업평가의 쟁점 및 방향 -학생대상 질문조사에 근거하는 대학의 수업평가를 중심으로-
수업평가의 의미 및 necessity 과 수업평가의 쟁점과 그 改善(개선) 을 위한 유의 사항, efficacy적인 수업의 개념定義(정의)를 위한 합의의 어려움에 관련되어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