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 4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4:54본문
Download :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hwp
나아가 부와 성공이 행복의 그 어떤 척도도 수단도 아닌 것처럼.
Download :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hwp( 27 )
다. 그만큼 영국에서는 한 사람이 살아가는 데 대학이 부와 성공의 그 어떤 척도도 수단도 아닌 것이다. 그래서 근로자든 유학생이든 6개월 이상 체류한 외국인 누구에게나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유명한 영국의 복지 혜택이 열려 있으며, 심지어는 고양이의 `권리`가 더 타임스 1면 톱기사가 될 정도로 동물의 권리까지 챙긴다. 그리고 `빨리`보다 `제대로`가 훨씬 중요하다고 깊이 느끼며 산다.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 비교 1. 영국국민의 국민성 english br...
영국인의 삶은 가난해 보일 정도로 검소하지만 삶의 느긋한 향기가 베어 있다. 백작의 딸임에도 고등학교 1학년을 마치고 유치원 보모로 일을 하다 왕세자비가 된 다이애나처럼 성적이 평범한 영국의 靑少年(청소년) 들이 별스트레스 없이 취업의 길로 들어서는 것은 영국에서는 흔히 있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휴일만 되면 TV를 보느라 온정신을 몰두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나라와는 `삶의 질`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 당연하다.
설명
순서
이러한 양질의 삶을 위해 영국은 그 무엇보다도 교육을 중요하게 여긴다.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601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B%AC%B8%ED%99%94%5D%20%EC%98%81%EA%B5%AD%EC%9D%B8%EA%B3%BC%20%ED%95%9C%EA%B5%AD%EC%9D%B8%EC%9D%98%20%EA%B5%AD%EB%AF%BC%EC%84%B1-6011_01.gif)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601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B%AC%B8%ED%99%94%5D%20%EC%98%81%EA%B5%AD%EC%9D%B8%EA%B3%BC%20%ED%95%9C%EA%B5%AD%EC%9D%B8%EC%9D%98%20%EA%B5%AD%EB%AF%BC%EC%84%B1-6011_02_.gif)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601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B%AC%B8%ED%99%94%5D%20%EC%98%81%EA%B5%AD%EC%9D%B8%EA%B3%BC%20%ED%95%9C%EA%B5%AD%EC%9D%B8%EC%9D%98%20%EA%B5%AD%EB%AF%BC%EC%84%B1-6011_03_.gif)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601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2/%5B%EB%AC%B8%ED%99%94%5D%20%EC%98%81%EA%B5%AD%EC%9D%B8%EA%B3%BC%20%ED%95%9C%EA%B5%AD%EC%9D%B8%EC%9D%98%20%EA%B5%AD%EB%AF%BC%EC%84%B1-6011_04_.gif)

이성과 합리가 가져다주는 삶의 질
이뿐이 아니다. 한마디로 영국은 약자에 대한 배려가 사회 곳곳...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 비교 1. 영국국민의 국민성 english br...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 4
[文化(문화)]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 4
영국인과 한국인의 국민성 비교ƒ. 영국국민의 국민성
english breakfast 베이컨, 달걀, 마말레이드를 바른 토스트, 홍차, 과일 등으로 푸짐하게 먹는 영국인의 아침식사.
실제 대학 교수들은 15년쯤 된 고물차를 타거나 자전거로 출근하는 데 비해 연관공은 벤츠를 타고 다니는 경우가 흔하다. `최고급 스포츠카보다도 예쁜 정원과 오후의 차 한 잔에 더 큰 가치를 둔다`는 영국 사람들은 전국민이 휴일만 되면 정원을 가꾸느라 구슬땀을 흘린다. 그런데도 영국은 유럽 내에서 대학 진학률이 가장 `낮은` 나라이다. 영국 사람들은 민주주의의 원조 나라답게 개인의 행복과 평등에 대해 올바른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였음은 물론 타인의 행복과 평등에도 엄정할 수 있도록 `이성`과 `합리`의 원칙을 지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