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철학] 공맹철학(군자와 소인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01:46본문
Download : 공맹철학(군자,소인).hwp
군자(君子)는 기본 되는 일에 힘쓰거니와 기본이 서야 도가 생겨난다. 충성과 신용을 주로 하고, 자기만 못한 사람을 벗으로 사귀지 말고, 과오를 저지르면 그것을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라.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윗사람의 권위를 무시하기 싫어하면서 난동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사람이란 여태껏 나와 본 일이 없다.
공맹철학에 나오는 군자와 소인에 관한 문구를 찾아 정리(整理) 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子曰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 不亦君子乎?]
[철학] 공맹철학(군자와 소인에 관하여)
4. 子曰 :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유자(有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람됨이 효성 있고 우애스러우면서 윗사람의 권위를 무시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 학이편
설명
2. 有子曰 :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君子)로서 식사하는 데는 배부르기를 바라지 않고, 거처하는 데는 편안하기를 바라지 않고, 일에 민첩하며 말에 조심스럽고, 인격을 갖춘 사람에게 나가 자신을 바로 잡는다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할 수 있다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특별한 목차는 없습니다.^^
-1550_01.gif)
-1550_02_.gif)
-1550_03_.gif)
-1550_04_.gif)
-1550_05_.gif)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배우고 제 때에 그것을 복습하는 것은 또한 기쁘지 아니하냐. 벗들이 먼 곳에서 오는 것은 또한 즐겁지 아니하냐. 남이 자기의 실력을 알아주지 아니하여도 노여워하지 않는 것은 또한 군자(君子)답지 아니하냐.
다.
3. 子曰 :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공맹철학, 공자, 맹자, 군자, 소인, 철학
Download : 공맹철학(군자,소인).hwp( 70 )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君子)는 자중(自重)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학문도 근저(根?)가 견고해지지 않는다.
공맹철학에 나오는 군자와 소인에 관한 문구를 찾아 정리한 것입니다. 효성과 우애란 것은 인을 실천하는 기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