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와 몰이해의 하모니-삶이 곧, 예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04:39본문
Download : 이해와 몰이해의 하모니-삶이 곧, 예술_1143673.hwp
”라고 말하고 있다 세 번째로 예술의 사회적 조건에는 표현 관습적인 조건이 필요하다. 예술은 전반적으로 이러한 컨벤션 요소를 다 갖추고 있다 예술을 창조적인 표현이라고 하나, 그것이 100%예술가의 창조적인 사고의 생산물은 아닐것이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서양의 누드화에 있어서 여자의 음모를 그리지 않는 것이 그 시대 이전가지의 컨벤션이었다고 했을 때 그 틀을 깸으로써 실제의 여자에 더 가깝게 그린 모딜리아니의 그림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모딜리아니 이후에 나타나는 인상파 화가들에게 있어서는 음모가 그려지지 않는다. 두 번째는 제도적인 조건이다. 다만 기술을 가르칠 수 있을 뿐이다. 진정한 예술가는 이 컨벤션을 어떻게 적절하게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다 100%컨벤션은 의미전달은 확실하게 할 수 있지만 진부하면서 상투적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컨벤션의 활용문제는 칸트의 말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공기속의 비둘기…(省略)
순서
이해와몰이해의하모니-삶이곧,예술 , 이해와 몰이해의 하모니-삶이 곧, 예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이해와 몰이해의 하모니-삶이 곧, 예술_1143673.hwp( 61 )
이해와몰이해의하모니-삶이곧,예술
다. 예술의 전달자, 즉 예술가와 수신자인 대중사이에 공유하는 무언가가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유가 가능한 언어를 컨벤션이라 한다. . 창조는 컨벤션과 예술가의 독창성이 만났을 때 비로소 탄생하는 것이다. 예술가에게 있어 전문적 자격을 부여하고 전문교육, 전문 활동을 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이해와 몰이해의 하모니-삶이 곧, 예술
설명
1. 들어가기
2. 사회 속의 예술, 예술 속의 사회
①과학과 예술
②예술의 탄생(18세기 이후)
③예술의 사회적 생산의 조건
④예술의 사회적 수용
⑤예술과 비사회성
⑥예술의 기원과 탄생(18세기 이전)
⑦예술의 자기 찾기
⑧근대의 예술
⑨아방가르드 운동
3. 예술의 사회성과 반사회성
참고한 문헌
③예술의 사회적 생산의 조건
그렇다면 예술이 사회적 생산물로 나타나기 위해서 필요한 예술의 사회적 생산의 조건은 무엇일까. 한 가지는 기술적인 조건으로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물질적인 것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 결국 예술은 컨벤션을 깨느냐, 지키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이런 제도적 측면을 예로 들자면 옛 조선시대의 국가에 속했던 공무원 예술가였던 도화서원의 경우와 오늘날의 도화서에 속하는 대한민국 예술원을 들 수 있다 이것과 더불어 제도화가 되었다는 말은 개념(槪念)화된 무엇을 가르칠 수 있다는 의미 역시됨으로 제도화가 된 학교가 생겼다는 말 역시 된다된다. 이것의 대표적인 예는 바로 독일의 바우하우스를 들 수 있다 바우하우스에서는 “예술은 가르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