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레포트] 오차론 > catchall4 | catchall.co.kr report

[레포트] 오차론 > catchall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4

[레포트] 오차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14:51

본문




Download : [레포트] 오차론.hwp






2. 계통오차
1) 계기오차 : 측정(測定) 계기의 불완전성 때문에 생기는 오차.
2) environment(환경) 오차 : 측정(測定) 할 때 온도, 습도, 압력 등 외부environment(환경) 의 effect으로 생기는 오차.
3) theory(이론)오차 : 근사식을 사용하게 될 때 발생하는 오차. experiment(실험)값-average(평균)값
4) 개인오차 : 개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이나 선입관이 작용하여 생기는 오차.

3. 과실오차
계기의 취급부주의로 생기는 오차.

4. 우연오차
주위의 사정으로 측정(測定) 자가 주의해도 피할 수 없는 불규칙적이고 우발적인 요인에 의해 생기는 오차.

5. 유효숫자
유효숫자가 많은 측정(測定) 값은 정밀도가 높고, 측정(測定) 값의 크기는 유효숫자의 많고 적음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 다시 말하면 진실치가 A인 양을 측정(測定) 하여 B라는 측정(測定) 치를 얻었다면 일반적으로 A와 B는 일치하지 않는다. 측정(測定) 자가 측정(測定) 기구를 이용하여 어떤 물리량을 잰다고 하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측정(測定) 자의 과실이 없도록 측정(測定) 하더라도 측정(測定) 결과는 진실값에 가까울 뿐 진실치는 아니다. 이때 참값대신 average(평균)값을 많이 사용하고 편차는…(생략(省略))
순서
레포트,오차론,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 오차론

[레포트]%20오차론_hwp_01.gif [레포트]%20오차론_hwp_02.gif [레포트]%20오차론_hwp_03.gif


[레포트] 오차론 , [레포트] 오차론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 오차론
설명
다.
2) 범위 : 측정(測定) 값의 최고와 최저값의 차를 말하는 것으로 신뢰도는 높지 못하나 추정이 빠르고 쉽다. 측정(測定) 자가 측정(測定) 기구를 이용하여 어떤 물리량을 잰다고 하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측정(測定) 자의 과실이 없도록 측정(測定) 하더라도 측정(測定) 결과는 진실값에 가까울 뿐 진실치는 아니다.

[레포트] 오차론

Download : [레포트] 오차론.hwp( 46 )





레포트/공학기술








오 차 론

1. 오차
물리량을 측정(測定) 하는데는 측정(測定) 기구가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진실치가 A인 양을 측정(測定) 하여 B라는 측정(測定) 치를 얻었다면 일반적으로 A와 B는 일치하지 않는다.

2. 계통오차
1) 계기오차 : 측정(測定) 계기의 불완전성 때문에 생기는 오차.
2) environment(환경) 오차 : 측정(測定) 할 때 온도, 습도, 압력 등 외부environment(환경) 의 effect으로 생기는 오차.
3) theory(이론)오차 : 근사식을 사용하게 될 때 발생하는 오차. experiment(실험)값-average(평균)값
4) 개인오차 : 개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이나 선입관이 작용하여 생기는 오차.

3. 과실오차
계기의 취급부주의로 생기는 오차.

4. 우연오차
주위의 사정으로 측정(測定) 자가 주의해도 피할 수 없는 불규칙적이고 우발적인 요인에 의해 생기는 오차.

5. 유효숫자
유효숫자가 많은 측정(測定) 값은 정밀도가 ...

오 차 론

1. 오차
물리량을 측정(測定) 하는데는 측정(測定) 기구가 필요하다.
유효숫자가 2자리인 경우 1.7 ×105
유효숫자가 3자리인 경우 1.70 ×105
유효숫자가 4자리인 경우 1.700 ×105

6. 대푯값
1) 중앙값 : 측정(測定) 값을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측정(測定) 값, Me로 나타냄
2) 최빈값 : 측정(測定) 값의 빈도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측정(測定) 치. Mo로 표시
3) 산술average(평균) : 측정(測定) 값들의 average(평균)값.
4) 가중average(평균) : 측정(測定) 값이 경우에 따라서는 같은 측정(測定) 값이 여러번 반복되어 나타날 수 있고 이 때에는 빈도를 가중치로 택하여 average(평균)값 계산

7. 편차
1) 상대오차 : 큰 값과 작은 값이 같은 오차로 측정(測定) 되었을 때 큰 쪽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밀도를 가진다.
3) 편차 : 측정(測定) 에 있어 참값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체 12,49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