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 catchall4 | catchall.co.kr report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 catchall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4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21:29

본문




Download :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hwp




소금에 절인 채소에 소금물을 붓거나 소금을 뿌리면 국물이 많은 김치가 되고, 이것이 숙성되면서 채소 속의 수분이 빠져 나와 채소 자체에 침지된다 여기서 `침채`(沈菜)라는 고유의 명칭이 생겼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김치라는 말은 침채(沈菜) -]팀채 -] 짐채 -] 김채 -] 김치와 같이 change(변화)되었다. “벽온방”(1518년)에는 무 딤채국을 집안사람이 다 먹어라하였으며, 중종 22년 “훈몽자회”(訓蒙字會, 1525년)에서는 `저`를 `딤채 -]조`라 하였다.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순서

Download :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hwp( 83 )






[김치]%20김치의%20어원과%20종류,%20김치의%20관광상품화_hwp_01.gif [김치]%20김치의%20어원과%20종류,%20김치의%20관광상품화_hwp_02.gif [김치]%20김치의%20어원과%20종류,%20김치의%20관광상품화_hwp_03.gif [김치]%20김치의%20어원과%20종류,%20김치의%20관광상품화_hwp_04.gif [김치]%20김치의%20어원과%20종류,%20김치의%20관광상품화_hwp_05.gif [김치]%20김치의%20어원과%20종류,%20김치의%20관광상품화_hwp_06.gif

레포트/생활전문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생활전문레포트 ,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설명
[김치],김치의,어원과,종류,김치의,관광상품화,생활전문,레포트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목차

김치

Ⅰ. 김치의 어원

Ⅱ. 지방에 따른 김치의 종류

1. 서울
2. 경기도
3. 강원도
4. 충청도
5. 전라도
6. 경상도
7. 제주도
8. 황해도
9. 평안도
10. 함경도

Ⅲ. 계절별 김치의 종류

1. 봄(3~5월)
2. 여름(6~8월)
3. 가을(9~11월)
4. 겨울(12~2월)

Ⅳ. 김치의 관광상품화

1. 김치 담그는 법 CD-rom제작
2. 냄새 안나는 김치 개발
3. ‘유기농법 김치 국내 첫 품질인증
4. ‘국제식품 김치: 규격위서 공인받아 ‘기무치 명칭 퇴출
5. 국제식품 공인: 김치시장 업계 ‘후끈
6. 대규모 김치 타운 광주에 조성
김치

1) 김치의 어원

中國에서는 일책이 김치를 뜻하는 것으로 `저`(適)자를 사용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 김치무리 담그기를 `염지`라 하였는데, `지`(...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목차

김치

Ⅰ. 김치의 어원

Ⅱ. 지방에 따른 김치의 종류

1. 서울
2. 경기도
3. 강원도
4. 충청도
5. 전라도
6. 경상도
7. 제주도
8. 황해도
9. 평안도
10. 함경도

Ⅲ. 계절별 김치의 종류

1. 봄(3~5월)
2. 여름(6~8월)
3. 가을(9~11월)
4. 겨울(12~2월)

Ⅳ. 김치의 관광상품화

1. 김치 담그는 법 CD-rom제작
2. 냄새 안나는 김치 개발
3. ‘유기농법’ 김치 국내 첫 품질인증
4. ‘국제식품’ 김치: 규격위서 공인받아 ‘기무치’ 명칭 퇴출
5. 국제식품 공인: 김치시장 업계 ‘후끈’
6. 대규모 김치 타운 광주에 조성
김치

1) 김치의 어원

中國에서는 일책이 김치를 뜻하는 것으로 `저`(適)자를 사용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 김치무리 담그기를 `염지`라 하였는데, `지`(灌)는 `물에 담그다`라는 뜻에서 由來된 듯하다. 이렇게 `지`라 부르던 것이 고려 말부터는 `저`라 부르게 되었다.
김장이라는 말은 `침장(沈藏)`에서 由來되어 `팀장)험장)김장`으로 어음change(변화)가 된 것임을 알 수 있다아
“조선실록”에 따르면 태종 9년에 침장고를 두었다하고, “삼봉집;”(1700년대 말) 7권(券)에는 고려의 제도…(drop)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다.
조선 초기에는 `딤채`라 하여, “내훈”(內訓, 1516년)에 처음 `딤채국`이 나온다.
전체 12,49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