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접합 다이오드의 特性(특성) > catchall5 | catchall.co.kr report

접합 다이오드의 特性(특성) > catchall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5

접합 다이오드의 特性(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07:14

본문




Download :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2).hwp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0)
인가된 역방향전압에 의해 potential barrier는 더욱 높아짐.(건전지의 “+”단자가 다이오드의 n쪽에 접 속되어 전자들은 그만큼 에너지가 낮아짐)
n-QNR의 전자들은 potential barrier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p+-QNR쪽으로 갈 수 없다. 이것이 바로 다이오드의 주된 特性이 된다된다.
(2) 접합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特性을 test(실험) 적으로 결정하고 도시한다.순서





접합,다이오드의,특성,기타,실험과제

접합 다이오드의 特性(특성)
접합 다이오드의 特性(특성)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기타실험과제 ,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접합 다이오드의 特性

1. test(실험) 목적
(1) 순방향 및 역방향 바이어스(bias)전압이 접합 다이오드(Junction diode)의 전류에 미치는 效果(효과)를 측정(測定) 한다.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0)
인가된 순방향전압에 의해 potential barrier는 낮아진다.

2. test(실험) 이론(理論)
1) pn접합 다이오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금속적으로 접합된 것. 이 pn접합은 전기적으로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된다.
p+-QNR의 전자는 전계에 의해 n-QNR쪽으로 drift한다.
p+-QNR의 전자는 전계에 의해 n-QNR쪽으로 drift.



(a…(투비컨티뉴드 )



설명


실험과제/기타

Download :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2).hwp( 35 )


접합%20다이오드의%20특성(2)_hwp_01.gif 접합%20다이오드의%20특성(2)_hwp_02.gif 접합%20다이오드의%20특성(2)_hwp_03.gif 접합%20다이오드의%20특성(2)_hwp_04.gif 접합%20다이오드의%20특성(2)_hwp_05.gif


다.
(3) 접합 다이오드를 저항계로 시험하는 법을 익힌다.)
n-QNR의 전자중 potential barrier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thermal equilibrium보다 많음) 만
p+-QNR쪽으로 diffusion.
p+-QNR의 전자는 전계에 의해 n-QNR쪽으로 drift.
p에서 n으로 전류가 흐른다.

?평형상태
n-QNR의 전자 중 potential barrier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만 p+-QNR쪽으로 diffusion한다.(건전지의 “-” 단자는 다이오드의 n쪽에 접속
되어 전자들은 그만큼 에너지가 높아진다.
전체 12,64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