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정 시 호(경북대학교)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2:06본문
Download :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hwp
그래서 -비록 영어의 절대적 비중을 누구나 인정하지만- 오늘날처럼 외국어 교육과 더불어 모국어 교육에 관심에 요청되는 시기는 일찍이 없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모국어 교육이 심각한 effect을 받을 뿐만 아니라 독일어 교육이 설자리가 없게 될 것이다.
Download :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hwp( 14 )
순서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정 시 호(경북대학교) 1. 들어가는 말 최근 수...
[인문사회]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정 시 호(경북대학교) 1.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정 시 호(경북대학교) 1. 들어가는 말 최근 수...
인문사회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정 시 호경북대학교 1.
헤르더의 외국어 교육론 정 시 호(경북대학교) . 들어가는 말 최근 수년이래 필자의 관심을 끌어 온 화두는 “영어공용어론”이다. II. 교육자로서의 헤르더 헤르더 Johann Gottfried Herder(1744-1802)하게 되면 우리에게는 독일 계몽주의자로서, 또는 폭풍 노도 Sturm und Drang(1770- 1780)의 대표주자로서 잘 알려져 있다 ...
설명





다.1 외국어 교육에 있어, 영어교육이든 제 2 외국어교육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현학적인 理論(이론), 메타 理論(이론)이 아니라 현장 연구이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우선 시급한 것은 외국어 교육자의 자세, 즉 철학정립이 필요한 것 같다. 1998년 여름, 작가 복거일이 “열린 민족주의”와 함께 영어 공용어론을 주장한 이후 1999년 11월초에 한국소설가협회 회장 정을병이 다시 영어를 제 2 공용어로 하자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은 누구보다도 모국어를 사랑하고 아껴야 할 작가들임에도 이러한 주장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필자에게 비상한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의 어느 여론조사기관이 네티즌을 상대로 한 조사결과는 63.1%가 영어 공용화를 찬성하고 있다 한다. (동아일보, 2000. 1.4) 영어 공용어화는 우리 모국어인 한국어의 쇠퇴 내지 소멸을 가져온다. 일제시대를 생각해 보라. 한국어는 피재배층인 농부나 시골마을, 가정에서나 통용될 수 있는 ‘말’에 불과했던 것이다 프리드리히 대왕의 초청을 받고 포츠담의 ‘상수시 Sanssouci궁’에 온 볼테르가 “독일어는 졸병과 마구간의 말”만이 쓰는 말이라고 했다 하거니와 한국어는 그렇게 되고 말 것이다. 18세기의 헤르더의 외국어교육관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므로 그의 외국어 학습관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