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한국 범종의 역싸에 대하여 > catchall6 | catchall.co.kr report

한국 범종의 역싸에 대하여 > catchall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6

한국 범종의 역싸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00:16

본문




Download : 한국 범종의 역사에 대해서.hwp





(종신)
범종의 몸체는 한국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김칫독을 엎어 놓은 것 같은 형태로 매우 안정감을 갖고 있으며, 종정에는 용뉴와 용통, 즉 음관이 있다
또 당좌 2개와 주악하는 비천상 2구를 상호 교대로 배치하였으며, 상대와 하대를 갖춘 것 외에 상대에 접하여 네 군데에 9유두를 구비한 유곽을 배치하고 있다 종definition 천판은 연꽃잎을 둘러서 장식하고 있는 것 등이 신라 범종 종신의 특징이다. 이것이 종정에 가까운쪽으로 올라갈수록 다시 두껍게 되나 종구 쪽보다는 약간 덜 두꺼운 상태이다.


한국 범종의 조형(祖形)이며 대표되는 신라 범종의 각부를 종신, 용뉴, 용통(음관), 상대 문양, 유곽의 문양, 하대 문양 그리고 비천상의 형상... , 한국 범종의 역사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순서
레포트/기타
한국 범종의 역싸에 대하여

한국%20범종의%20역사에%20대해서_hwp_01.gif 한국%20범종의%20역사에%20대해서_hwp_02.gif 한국%20범종의%20역사에%20대해서_hwp_03.gif 한국%20범종의%20역사에%20대해서_hwp_04.gif 한국%20범종의%20역사에%20대해서_hwp_05.gif 한국%20범종의%20역사에%20대해서_hwp_06.gif

한국 범종의 조형(祖形)이며 대표되는 신라 범종의 각부를 종신, 용뉴, 용통(음관), 상대 문양, 유곽의 문양, 하대 문양 그리고 비천상의 형상과 당좌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상하가 다른 주물법도 신라 범종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용뉴와 용통)
신라 범종의 종정에는 예외 없이 용뉴와 용통을 구비하고 있다
용뉴에서는 용이 종definition 천판을 두 발로 힘차게 딛고 있…(drop)


설명





,기타,레포트
한국 범종의 조형(祖形)이며 대표되는 신라 범종의 각부를 종신, 용뉴, 용통(음관), 상대 문양, 유곽의 문양, 하대 문양 그리고 비천상의 형상...

Download : 한국 범종의 역사에 대해서.hwp( 81 )



다.
이와 아울러 종신과 종구의 비례는 2:1 내지 1.5:1의 비율에 가깝게 이루어져 있다 종신의 단면을 도면으로 작성하여 볼 때 신라 범종은 종구 쪽이 기차 레일처럼 안쪽으로 약간 형으로 되면서 두껍고, 종복에 이르러서는 점차 얇아진다.
전체 12,77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