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극동정책과 김일성정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13:27본문
Download : sokim.hwp
레포트/인문사회
1.기본적인 시각, 2.전시 연합국회담에서 소련이 한반도에 대해 보인 태도, 3.소련의 북한진공과 한반도의 분단, 4.소련군의 진주와 초기 점령작전, 5.사이비형 연립의 단계와 소련의 점령정책, , filesize : 31K
순서
1.기본적인 시각
2.전시 연합국회담에서 소련이 한반도에 대해 보인 태도
3.소련의 북한진공과 한반도의 분단
4.소련군의 진주와 초기 점령작전
5.사이비형 연립의 단계와 소련의 점령정책
45년 12월 말까지의 순수형 연립단계를 보면 소련측은 북한에 소련에게 우호적 정권을 세운다는 원칙밖엔 없었다. 그후 현준혁식의 부르좌 민주혁명 노선을 비판하고 친일세력을 철저히 배제한 민족통일전선을 결성해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기본 조건을 당면 정책임을 분명히 했다. 그후 마…(생략(省略))
Download : sokim.hwp( 23 )
소련,극동정책,김일성정권,인문사회,레포트
설명
1.기본적인 시각, 2.전시 연합국회담에서 소련이 한반도에 대해 보인 태도, 3.소련의 북한진공과 한반도의 분단, 4.소련군의 진주와 초기 점령작전, 5.사이비형 연립의 단계와 소련의 점령정책, , FileSize : 31K , 소련의극동정책과 김일성정권 인문사회레포트 , 소련 극동정책 김일성정권





소련의극동정책과 김일성정권
다. 이무렵 슈티코프대장은 소련점령군 산하에 사실상의 군정실시 기관으로 민government 를 설치했으며 김일성과 그 동료들도 귀국한다. 그리고 점령군 사령부 산하의 북조선 5도임시 인민위원회가 구성됐다. 따라서 군정청을 수립하지 않고, 간접통치의 방식을 택하여 일단 각급 건준을 인정하고 인민위원회를 발족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