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쓰임과 인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18:00
본문
Download : 언어의 쓰임과 인지.hwp
수행문은 말하면서 바로 동사에 나타난 행위를 하게 되는 문장의 발화다.
1. 화행 이론(理論)(speech act theory): 비진리조건적 의미를 다룬다. 새끼손가락을 엮으면서 ‘약속해’ 하면 약속 행위가 된다 대화에서는 다짐할 때 쓰고, 연극이나 격식 차리는 公式 적인 상황에서 쓴다.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언어의 쓰임에 관해 연구하는 화용론이나 담화 theory(이론) 일반의 관심사를 인지와의 관계 하에 살펴보고자 한...
설명
언어의 쓰임과 인지
I. 언어의 쓰임에 관한 연구의 방향
언어의 쓰임에 관해 연구하는 화용론이나 담화 이론(理論) 일반의 관심사를 인지와의 관계 하에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담화(discourse)의 정의(定義)를 살펴보면, 다음 두 가지로 갈린다. 언표내적 행위(illocutionary act)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례상 의의를 갖는 어떤…(투비컨티뉴드 )
I. 언어의 쓰임에 관한 연구의 방향 언어의 쓰임에 관해 연구하는 화용론이나 담화 이론 일반의 관심사를 인지와의 관계 하에 살펴보고자 한... , 언어의 쓰임과 인지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언어의 쓰임과 인지.hwp( 23 )
I. 언어의 쓰임에 관한 연구의 방향
다. 또한 근래에 통사론-의미론-화용론의 계면(interface) 또는 상호 작용 영역에의 관심들이 높아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a. 언어 표현의 단위로서 문장보다 큰 것
b. 설화(narrative), 대화(conversation)를포함한 언어의 쓰임
여기서는 화용론의 정의(定義)와 마주치는 b를 취하기로 한다(Schiffrin 1994, 1987 참조).
인지(cognition)라 하면, 지각(perception), 심상(image), 범주화, 槪念화, 기억, 이해, 학습, 문제 풀이(problem solving), 상상 및 사고의 포괄적인 심리 과정을 포함한다. 상호작용을 하는 담화에 인지의 거의 모든 부분이 관여하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화용론(pragmatics)이나 담화 이론(理論)의 영역이 대단히 넓어 그것이 어디서 어디까지인지를 정의(定義)하기가 어렵지만, 대체로 화행 이론(理論), 전제, 가리킴말-지시-대용-정보구조 및 연관성 이론(理論), 사회적 관계와 사회집단을 고려하는 상호작용적 사회언어학, 의사소통의 민생론, 대화analysis(분석) (CA), 변이analysis(분석) 등의 접근과 기능주의와 형식주의의 대립 그리고 인지적-사회적 대립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사회적인 것도 인지과학적 연구의 품에 안길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