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all.co.kr 국 어 > catchall7 | catchall.co.kr report

국 어 > catchal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tchall7

국 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18:10

본문




Download : 국 어.hwp




⑴ 검군(劍君)


⑴ 검군(劍君) 김 부 식(金富軾) 지음신 호 열(辛鎬烈) 옮김신라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서 사량궁(沙... , 국 어기타레포트 ,
국 어
순서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국%20%20어_hwp_01.gif 국%20%20어_hwp_02.gif 국%20%20어_hwp_03.gif 국%20%20어_hwp_04.gif 국%20%20어_hwp_05.gif 국%20%20어_hwp_06.gif





신 호 열(辛鎬烈) 옮김


⑴ 검군(劍君)
김 부 식(金富軾) 지음
신 호 열(辛鎬烈) 옮김
신라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서 사량궁(沙梁宮) 사인(舍人)이 되었다.
검군이 외출하여 근랑의 집에 갔는데 사인들이 몰래 의논하기를, “이 사람을 죽이지 않으면 반드시 탄로가 되고 만다. 이 때문에 궁중의 여러 사인(舍人)이 공모하고 창예창(唱예倉)의 곡식을 훔쳐 나누는데, 검군이 받지 않으니 여러 사인이 말하기를, “뭇 사람이 다 받는데 그대가 유독 받지 않으니 어쩐 까닭이오? 적어서 그런다면 더 주겠소.” 하니, 검군은 웃으며, “나는 근랑(近郞)의 무리로 이름이 적히고 풍월(風月)의 문정(門庭)에서 행실을 닦았소. 진실로 의(義)에 맞지 않는 것이라면 비록 천금(千金)의 이익이라도 마음을 움직이지 아니하오.”라고 하였다.
진평왕 건복(建福) 44년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모든 곡식이 죽으니, 이듬해 봄·여름에 크게 기근(饑饉)이 들어 백성은 자식을 팔아서 먹는 형편이었다.”고 하고는 이내 검군을 불렀다.
검군은 그들이 자기를 죽이려 하는 것을 알고 근랑에…(省略)
신라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서 사량궁(沙...

김 부 식(金富軾) 지음

Download : 국 어.hwp( 83 )






설명
다. 이 즈음 이찬(伊찬) 대일(大日)의 아들이 화랑이 되어 이름을 근랑(近郞)이라 하였기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전체 12,75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tchal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