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과 시민(Citizen)참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22:39본문
Download : 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과 시민참여.hwp
Ⅲ. 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의 개요
광주시 동구 운림동 394번지에 위치한 운림온천지구는 1989년에 당시 토지소유자인 임장춘씨가 온천수를 발견하고 광주시에 신고하자 관련기관들의 조사 후 1990년 7월 2일에 운림온천지구로 지정되었다. 즉, 環境(환경)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시 민 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요구되는 것이다..학점은 A+ 받았어요..
순서
다.
설명





운림온천
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과 시민(Citizen)참여
열심히 작성한 문서입니다. 결국에는 2003년 11월에 12번째 사업신청서를 광주시가 반려함으로써 이 개발사업은 사실상 무산되었다. 그 후 이 부지는 임장춘씨로부터 (주)청전개발로, 다시 (주)프라임월드로 명의변경되어 온천개발 사업이 추진되게 되는데 이러한 온천개발 사업에 대해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여러 시 민 단체의 반대로 인해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게 된다된다.
Ⅱ. 시 민 참여의 정의(定義)와 유형
環境(환경)정책 과정에서의 시 민 참여는 “環境(환경)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또는 집단의 公式 , 비公式 적인 모든 활동이라고 정의(定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 민 참여의 유형은 시 민 들이 주도권을 쥐고 政府(정부)정책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 민 주도형 참여’와 政府(정부)의 필요에 의해 政府(정부)가 시 민 들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政府(정부)정책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 민 참여를 제한적으로 보장하는 ‘政府(정부)주도형 참여’로 나눠볼 수 있다 이러한 유형 중 環境(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시 민 주도형 참여가 바람직할 것이라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말일 것이다..학점은 A+ 받았어요.. 운림온천 , 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과 시민참여생활전문레포트 ,
Download : 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과 시민참여.hwp( 47 )
,생활전문,레포트
Ⅰ. 서론
Ⅱ. 시 민 참여의 정의(定義)와 유형
Ⅲ. 광주광역시 운림온천개발사업의 개요
Ⅳ. 사건의 이해관계자
1. 개발자의 주장 ((주)프라임월드)
2. 시 민 단체의 주장 (무보협, 무등산운림온천개발반대 범시 민 대책위원회 등)
3. 광주시의 입장
Ⅴ. 운림온천에 대한 대안
Ⅵ. 운림온천개발사업 사례(instance)의 시사점 (시 민 참여를 중심으로)
1. 정책과정상 시 민 참여의 한계
2. 시 민 단체 참여방식의 change(변화)
3. 시 민 단체들 간의 다각적 연대와 적극적 대응
4. 시 민 단체의 전문성 확보
5. 정당정치의 부재
6. 언론사 간의 갈등
Ⅶ. 시 민 참여의 나아갈 방향
Ⅷ. 結論(결론)
Ⅰ. 서론
環境(환경)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環境(환경)정책은 국가나 시장 또는 시 민 사회 어느 한 영역에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있다 따라서 국가 내부 또는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環境(환경)문제에 대해 어느 한 주체에게만 그 책임을 맡기는 것은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바람직하지 못할 것이다.
<논의 전개>
- 정책에 있어서 하나의 주체로 떠오른 시 민 들과 유리되었다는 측면에서 가장 큰 문제가 있었음.
① 주민說明(설명) 회의 부재 (1990 ~ 1998)
② 광주시의 보완지시 결정 및 環境(환경), 시 민 단체의 강력한 저지와 행적기관의 소극적 조치(1996…(省略)
레포트/생활전문
열심히 작성한 문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