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7:03
본문
Download :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hwp
현대 국어의 “...






설명
중세의 “디다,”“지다1,”“지다2”의 의미 이 장에서는 중세 국어의 “디다”와 “지다”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 국어의 “지다”에 해당되는 중세 국어의 낱말들에는 “디다”와 “지다”가 있다아 구개음화가 일어나기 전에 이미 “지다”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Download :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hwp( 38 )
레포트/인문사회
이 장에서는 중세 국어의 “디다”와 “지다”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디다”는 일반 용언과 보조용언의 두 가지로 사용되었는데, 일반 용언일 때 주로 ‘떨어지다,’‘없어지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디다”가 ‘값싸다’의 뜻으로 사용된 예는 매우 적으나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아
<2> ㄱ. 갑슨 던가 디던가<번노 9ㄱ> *布價高低(麻+ )
ㄴ.다가 디거든 안직 머추워 두어든 네 아모 나 듣보라 가고려 <번노70ㄴ> *자十分的賤時
중세 국어에서 “지다”형은 일반 용언으로만 사용되었는데, 그 의미는 5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아 자동사로서 ‘이루어지거나 나타남’의 의미로 사용된 것과, ‘승부에서 패배하다’의 뜻, ‘의지하다, 기대다’의 뜻, 타동사로서 ‘빚/짐을 지다’의 의미가 있다아 중세 자료(data)에는 타동사 “지다”가 다음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아
<1> ㄱ. 사미 간난면 다 하다랍고 ??지여시면 거즈말 잘 니라<번박 상 35ㄴ> *少債快說(言+荒)
ㄴ. 쥬믈 늘거셔 모 爲니<두시초 24:32> *負米晩爲身
ㄷ. 므거운 것 지고<法화 2:165>
“지다”가 ‘의지하다,기대다’의 뜻을 보이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현대 국어의 “... ,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중세의 “디다,”“지다1,”“지다2”의 의미
“디다”와 “지다”의 의미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중세의 “디다,”“지다1,”“지다2”의 의미
이 장에서는 중세 국어의 “디다”와 “지다”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ㄱ. 門을 지여셔<두시 초 8:19> *倚門
ㄴ. 하해 지연 긴 갈히<金삼 5:48> *倚天長劒
…(drop)
다. 간혹 ‘값싸다’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