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과 붓다의 세계관과 그에 기초한 윤리학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11:35본문
Download : 플라톤과 붓다의 세계관과 그에 기초한 윤리학의 비교.hwp
)보다 1세기 가량 이후의 사람이다. 반면에 현상계는 실재의 세계가 아닐것이다. 이렇듯 활동 시기와 지역이 모두 달랐던, 이 두 철학자가 만난다면 어떠한 理論적 비교가 가능할까. 특히 사회적 조건이나 풍습이 대단히 달랐던 그들의 상황에 비추어 어떤 윤리학적 비교가 가능할 것인가. 그들은 비록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상으로하여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했지만, 현상계에 대한 說明(설명) 은 놀라울 만큼 유사한 점들을 보여주고 있따 즉, 이 두 철학자는 공통적으로 현상계를 불완전한 것, 또는 종속되어 있는 것, 생성·소멸하는 것 등으로 說明(설명) 함으로써 비실재라고 파악하고 있따 이러한 그들의 현상계에 대한 이해에서 어떻게 윤리학이 설 수 있었을까. 물론 두 철학자 모두 윤리학을 연구했으며, 이제부터 나는 그러한 점을 고찰해 볼 것이다. 플라톤에…(skip)
,인문사회,레포트
플라톤과 붓다의 세계관과 그에 기초한 윤리학의 비교
순서
다. 한편 붓다는 인도에서 태어났고, 인도에서 활동했다. 이데아(Idea: 형상)의 세계는 감각적인 인식이 아니라 이성적인 능력을 사용해야 알 수 있는 이데아가 모인 곳으로 실재(實在)의 세계이다.플라톤과붓다의세계관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플라톤과 붓다의 세계관과 그에 기초한 윤리학의 비교.hwp( 45 )
플라톤과붓다의세계관 , 플라톤과 붓다의 세계관과 그에 기초한 윤리학의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서론 - 플라톤과 붓다의 만남
본론 - 플라톤의 철학과 붓다의 철학 비교
1. 플라톤의 이데아론
2. 붓다의 理論에 드러나는 현상계의 비실재성(非實在性)
3. 두 철학의 유사점과 차이점
4. 비실재적 현상계에서 어떻게 윤리학이 가능한가
結論
플라톤(Platon)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며 붓다(본래의 성은 고타마, 이름은 싯다르타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라 불리게 되었다. 이데아의 세계에 존재하는 것은 절대적인 존재로서, 예를 들어 개별적인 여러 ‘선한 것’이 아닌, ‘선 그 자체’가 존재한다.
본론 - 플라톤의 철학과 붓다의 철학 비교
1. 플라톤의 이데아론
플라톤의 철학은 실재와 현상을 구별하는 기반 위에 서있따 이는 객관적인 진리나 가치가 존재한다는 기초를 세우기 위함이다. . 왜냐하면 현상계의 모든 ‘선한 것’들의 총합도 ‘선 그 자체’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일것이다 이는 감각·경험에 의해서는 선한 가치를 인식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따 감각·경험으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상황에 따라 다르고 불완전하기 때문일것이다 즉, 어떤 이가 아름답다고 하는 것도 다른 이의 눈에는 추하게 보일 수 있으며, 여름에 유용한 것이 겨울에는 불필요하고 오히려 거추장스러울 수도 있는 것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