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술의 맛과 멋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15:33본문
Download : 전통술의 맛과 멋.hwp
4) 우리 전통술은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져 먹기좋고 독특한 과실향이 난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쳐서 사람들은 우리에게는 주도와 술文化(문화)가 없다고 탄식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본래 술文化(문화)에는 격식을 차리지는 않지만 엄격한 법도의 유일한 원칙은 사람을 생각하는 것이다.
5) 우리 술文化(문화)의 특징은 무엇일까?
6) 한국의 전통술은 중국(中國)술처럼 사람을 깜짝 놀라게 하지 않는다.
전통술의맛과멋
,생활전문,레포트
순서
전통술의 맛과 멋
문헌에만 전해질 뿐 이미 사라져버린 술이나, 최근에 복원되어 민속주라는 이름으로 사랑을 받기 시작한 술들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그래서 밤거리에는 취객의 노래와 갈짓자 걸음이 드물지 않고 대체로 그것을 너그럽게 보아 넘긴다. 무엇이 우리 전통술의 그러한 특성(特性)을 가져다 주었을까? 그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는 우리 조상들의 술에 대한 독특한 생각과 가양주 文化(문화)에 있따 우리 조상들은 전통 술을 단순한 기호음료가 아니라 음식이라고 생각했다.
설명
Ⅰ. 전통술로의 초대
1. 전통술이란 무엇인가
1) 인간이 사는 곳에는 언제, 어느곳에나 술이 있었다. 또다른 우리 전통술의 특징은 기능성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잔을 돌리되 세순배이상 하는 것은 술 못…(省略)
Download : 전통술의 맛과 멋.hwp( 92 )
레포트/생활전문
다.
3) 전통술을 빚기 위해서는 먼저 누룩을 잘 디뎌야 한다.
2) 서양의 술과 동아시아 3국의 술을 다르게 하는 것은 누룩이다.전통술의맛과멋 , 전통술의 맛과 멋생활전문레포트 ,






문헌에만 전해질 뿐 이미 사라져버린 술이나, 최근에 복원되어 민속주라는 이름으로 사랑을 받기 시작한 술들을 introduce하는 글입니다. 생약재의 고유한 약효외에도 순환기질환과 암등에 작용하는 전통누룩과 전통술의 기능성도 현대과학의 힘을 입어 그 과학성이 속속 입증되고 있따
5) 우리 술文化(문화)의 특징은 무엇일까?
우리 나라 사람들은 술을 마실 때 크게 격식을 차리지 않는다. 우리 민족의 뿌리깊은 의식동원의 은상은 때로 서구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형태를 낳기도 하지만 고대로부터 내려온 , `음식이 곧 가장 좋은 약`이라는 생각이 술에도 적용되어 술자체를 약으로 쓰기도 하고 특히 술의 부원료로 생약재를 사용한 술의 발달을 가져왔다. 사람이 술의 주인인 한 술은 좋은 것이었다.
2. 전통술의 분류와 종류
1) 전통주의 분류
2) 중국(中國), 日本 청주와 전통청주의 차이점
3. 전통약주의 종류
1) 전통약주의 특성(特性)에 따른 분류
2) 전통약주의 용도에 따른 분류
3) 원방 또는 확립되어 있는 주조법에 따른 분류
4) 바람직한 전통주 분류법
Ⅱ. 전통술 빚기
1. 마음 가다듬기
2. 누룩딛기
3. 전통술 원료의 처리
4. 술빚기와 발효
5. 약주 떠내기
6. 소주 내리기
7. 탁주 거르기
8. 보관용기와 술병, 술잔
Ⅲ. 전통술의 history
1. 술의 기원
2. 고구려의 술과 제민요술
3. 백제의 술
4. 신라와 통일신라의 술
5. 고려시대의 술
6. 조선시대
1) 조선시대의 술
7. 일제하의 술
Ⅳ. 누룩이야기(누룩의 history)
1. 원시시대에서 삼국시대까지의 누룩
1) 원시적 방법의 당화법(전분을 포도당으로 만드는 법)
2) 고대중국(中國)의 누룩
3) 제민요술의 누룩(북위 AD 430년경)
2. 삼국시대 및 신라시대의 누룩
1) 북산주경(北山酒徑 : 1117년 북송대)의 누룩
2) 거가필용(居家必用, 원대)속의 누룩
3. 조선시대 전기의 누룩
1)「증보산림경제」속의 누룩(1766)
4. 한말(韓末)의 곡자(누룩)
5. 한말(韓末)의 누룩에서 현재의 발효제까지
1) 한말의 곡자(누룩)
2) 일제하의 곡자
3) 현재의 발효제
Ⅴ. 전통술 즐기기
1. 주점의 history
1) 헌주가
2) 병주가
3) 소주가
4) 주막(酒幕)
5) 목로술집
6) 내외술집
7) 색주가
2. 전통술 맛있게 마시는 법
3. 전통약주 즐겁게 마시는 법
4. 전통주도와 현대인의 주도
1)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침들이 있따
5. 주도유단(酒道有段)
6. 전통술과 건강
1) 건강에 유익한 전통약주 마시기
2) 적절한 전통약주의 음주량
Ⅵ. 전통술의 기능성
1. 목욕술
1) 목욕술로 사용하는 전통술
2) 한국, 중국(中國), 日本 동양 3국 오래된 도교의 전
4) 술목욕의 원리
3) 기타 목욕술 응용방법과 效果(효과)
2. 전통술음식
1) 증편, 술떡, 기주떡 만들기-규합총서
2) 상화(상화만두)만들기-규합총서
3) 약과-술지게미 튀김과자
4) 술지게미 김치무리
5) 식해와 식혜(食醯)만들기
6) 모주
3. 기타 전통술의 이용법
1) 추위 안타는 법 : 규합총서
2) 술에 관한 상식 문답 30가지
4) 우리 전통술은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져 먹기좋고 독특한 과실향이 난다. 그래서 지금도 나이 지긋한 분들은 술을 마신다고 하지않고 술을 먹는다고 한다. 그리고 서양, 중국(中國), 日本 과 달리 역대 왕조의 금주정책으로 공업적양조보다는 집에서 빚어 마시는 가양주文化(문화)가 발달한 탓에 역설적으로 엄청나게 다양한 술들이 전하는 것이다.
술이 음식이기 때문에 5미가 조화된 맛있는 술을 좋은 술이라 하였고 음식이기에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먹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오히려 격식을 깨는 주법을 더 멋스러워 한다.
또한 좁은 국토에서 빚어진 술이라고는 믿어지지 많을 정도로 다양하다는 점이 남 다르다.